본문 바로가기
정부지원혜택

연 1만 원대 보험료로 풍수해·지진 피해까지 보장받는 법

by 급항해사 2025. 7. 6.
반응형

정부가 55% 이상 지원하는 자연재해보험, 어떤 혜택이 있을까요?

자연재해로 인한 재산 피해는 누구에게나 예외가 아닙니다. 경기도와 행정안전부는
국민의 피해를 줄이고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풍수해·지진재해보험에
보험료의 55% 이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 이 보험은 주택, 온실, 상가·공장을
대상으로 하며, 적은 자부담으로 큰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보험입니다.

 

연 1만 원대 보험료로 풍수해·지진 피해까지 보장받는 법
풍수해 및 지진재해보험

 

 

풍수해·지진재해보험,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?

가입 대상은 명확합니다. 주택 소유자와 임차인, 농업·임업용 온실을 운영하는 분들,
그리고 소상공인 상가·공장 운영자 또는 세입자가 해당됩니다. 특히
소상공인과 농업인처럼 재난에 더 취약한 계층이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가입만으로도 재난지원금보다 훨씬 큰 보장을 받을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이
크게 줄어듭니다.


어떤 자연재해에 보장받을 수 있을까요?

보장 범위는 총 8종입니다. 태풍, 홍수, 호우, 강풍, 풍랑, 해일, 대설, 지진까지
자연재해 전반을 망라합니다. 특히 지진이나 지진해일처럼 예측이 어려운
재해도 보장 대상에 포함되어 있어 안심할 수 있습니다.
실제로 발생률은 낮지만 피해 규모가 큰 재해일수록 보험의 필요성이 높습니다.


연간 1만 원대로 최대 8천만 원 보장

예를 들어 80㎡ 규모의 주택 기준 연간 자부담 보험료는 약 17,500원입니다.
주택이 전파되면 최대 8천만 원까지 보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
미가입 시 재난지원금 2천만 원보다 4배 이상 많은 수준입니다.
정부와 지자체가 약 55% 이상 보험료를 지원하기 때문에 자부담이 크지 않습니다.


실제 보험료 및 보장금액은 어떻게 되나요?

아래 표는 풍수해·지진재해보험의 보험료와 최대 보상액을 정리한 것입니다.

구분  연간 자부담 보험료 보장금액(최대)
주택(80㎡) 17,500원 80,000,000원
온실(1,000㎡) 65,000원 8,680,000원
상가(소유자) 49,200원 100,000,000원
공장(세입자) 21,300원 50,000,000원

보험료는 지역 및 구조, 가입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,
지자체의 추가 지원 여부에 따라 자부담은 더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.


재해 발생 시 실제 지급 사례는 어떤가요?

사례 1: 2020년 8월, 남부권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입은 주택
납입보험료는 연간 62,500원(정부+자부담 포함)이었고, 실제 지급받은
보험금은 1억 7,820만 원입니다. 미가입 시 받을 수 있었던
재난지원금은 1,600만 원에 불과했습니다.

사례 2: 2022년 2월, 강풍 피해로 철재 온실 붕괴
자부담 101만 원에 정부 지원 635만 원이 포함된 보험료로
3억 2천만 원의 보험금을 수령했습니다. 재난지원금보다 약 7배 많은 금액입니다.


소상공인도 큰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

소상공인 상가·공장은 실손형 상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
2022년 9월, 강풍으로 인한 재고자산 피해를 입은 한 소상공인은
자부담 3만 5천 원에 불과한 보험료로 3천5백만 원의 보험금을 수령했습니다.
미가입 시 재난지원금은 고작 300만 원에 그쳤습니다.


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도와주는 정책보험

이 보험의 가장 큰 장점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험료의 55% 이상을
지원한다는 점입니다.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자연재해 피해를
공공이 함께 나누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회 전체의 회복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.
예기치 못한 재난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선택입니다.

 

 


가입방법과 추가 정보는 어디서 확인하나요?

가입은 각 보험사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, 지자체 안내창구를 통해
가능하며, 지역에 따라 추가 지원 여부도 달라지므로 거주지 지자체의
정보를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정부가 준비한 이 정책보험을 통해 재해를 미리 대비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본인 가입 연결 바로가기

구분 주택 소상공인 온실
메리츠화재 (Meritz) [인터넷 링크]
[모바일 링크]
[인터넷 링크]
[모바일 링크]
개별 문의메리츠: 02-6085-9000
DB손해보험 (DB)   [인터넷 링크] 문의: 044-205-5990
현대해상 (Hyundai) [인터넷 링크]
[모바일 링크]
[인터넷 링크]
[모바일 링크]
문의: 044-205-5991
삼성화재 (Samsung) [인터넷 링크]
[모바일 링크]
[인터넷 링크]
[모바일 링크]
문의: 044-205-5992
KB손해보험 (KB)   [인터넷 링크] 문의: 044-205-5993
NH농협손해보험 (NH)   [인터넷 링크] 문의: 044-205-5994
한화손해보험 (Hanwha) 전화 문의044-205-5995 전화 문의044-205-5995 전화 문의044-205-5995
중소기업중앙회 (BKIZ)   [모바일 링크]  

 

보험사 문의처

 

 

구분 문의 번호 대표 홈페이지
메리츠화재 02-6085-9000 메리츠화재 바로가기
DB손해보험 044-205-5990, 1588-0100 DB손해보험 바로가기
현대해상 02-6077-4801 현대해상 바로가기
삼성화재 1588-5114 삼성화재 바로가기
KB손해보험 1544-0114 KB손해보험 바로가기
NH농협손해보험 044-205-5994, 1644-9000 NH농협손해보험 바로가기
한화손해보험 044-205-5995, 1588-8282 한화손해보험 바로가기

 

 

반응형